생활 팁

2025년 국민연금·기초연금, 놓치지 않고 받는 방법 총정리

만샘 2025. 3. 27. 06:00

 

 

 

국민연금은 가입기간에 따라 다르게 지급됩니다.
2025년 현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령 시작 연령

2025년 기준: 만 63세부터 수령 가능

1961년생부터 해당하며, 이후 출생자는 만 64세 이상부터 적용됩니다.

가입기간과 지급액 예시 (2025년 기준)

가입 10년 이상: 기본 연금 수령 가능

가입 20년 이상: 월평균 약 60만~80만 원 수령 가능

가입 30년 이상: 월평균 100만 원 이상 수령도 가능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

꼭 알아두기

국민연금은 직역연금(공무원연금 등)과 중복 수령 불가

연금 수령 전 5년 이내 사망 시 유족연금 전환 가능

임의가입제도를 통해 60세 이후에도 계속 납입 가능 (65세까지)


2. 기초연금 – 2025년 지급 기준과 신청 조건

기초연금은 소득과 재산에 따라 지급 여부가 결정됩니다.

지급 대상 (2025년 기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 보유, 국내 거주자

소득인정액이 단독가구 218만 원 이하, 부부가구 348.8만 원 이하

2025년 월 최대 지급액

단독가구 기준: 월 최대 40만 원 지급

부부가구: 1인당 월 최대 32만 원 내외

신청 시 주의할 점

국민연금 수령 여부에 따라 기초연금 감액될 수 있음

배우자 또는 자녀 명의의 재산도 소득인정액에 포함되므로 주의 필요


3. 신청 방법과 필요한 서류

신청처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 또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www.nps.or.kr)**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공통 제출 서류

신분증

통장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재산 관련 서류 (필요시 추가)

신청은 1회, 자동 갱신

수급권을 인정받으면, 특별한 변동사항 없을 경우 매년 자동 갱신됩니다.


4. 이런 분들은 반드시 확인하세요

올해 만 63세 또는 65세가 되는 분들

기존에 국민연금만 받고 있었던 분들 중
기초연금 대상에 새로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분들

소득이 적은 은퇴 직후 시기의 중장년층

혼자 지내는 고령 부모님을 대신해 자녀가 챙겨드려야 하는 경우


연금은 '알아야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준비되지 않은 사람에게 연금은 없고,
미리 챙긴 사람에게만
노후를 지탱해 줄 경제적 안전망이 됩니다.

지금 꼭 필요한 서류를 챙겨
내가 받을 수 있는 연금을
제때, 제대로 받으세요.

 

https://senior-space.tistory.com/56

 

노인 일자리 지원 사업 총정리 – 일하면서 보람도 수입도

“나이 들었어도 일할 수 있다면 기꺼이 일하고 싶어요.”많은 시니어 분들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경제적인 이유뿐만 아니라,세상과 연결되고,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보람’**이 함께

senior-space.kr